본문 바로가기
이요와(iyowa,いよわ)

IMAWANOKIWA(이마와노키와) 가사 분석

by 가사 뜯는 바룬 2024. 5. 9.

이요와(iyowa/ いよわ),  『IMAWANOKIWA』, 하츠네 미쿠, 유튜브 및 니코동, 2019.

 

 

 

 

IMAWANOKIWA

 

1. imawanokiwa는 일본어 今際際의 로마자 표기입니다. 今際の際는 죽기 직전이라는 뜻으로, 이 노래는 화자의 죽기 직전(자살하기 직전)의 내용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이 노래 전체가 일종의 유언의 형식을 가질 것이라는 사실도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2. 이요와는 가사를 들리는 대로 들으면 다른 의미로 해석되게 하는 기교를 자주 사용합니다. 今際の際를 일본어로 표기하지 않고 발음으로 적은 것도 이런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작 중 초반 주인공이 다소곳이 앉아있고 뒤에 액자같이 보이는 창문이 나오는 모습은 마치 주인공이 영정 사진을 찍는 중인 것 같이 보이게 합니다.

 

ドラマを見るのが好きだった

도라마오 미루노가 스키닷타

드라마 보는 걸 좋아했어

 

甘い ハッピーエンドに浸っては眠るのが 好きだった

아마이 핫피- 엔도니 히탓테와 네무루노가 스키닷타

달달한 해피 엔딩에 잠겨서는 잠에 드는 게 좋았었지

 

1. 아이가 죽기 전 화자가 좋아했던 것들을 과거형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아이의 죽음으로 인한 PTSD로 좋아하는 것 조차 좋아하지 못하는 우울한 화자의 심리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2. 달달한 해피엔딩에 잠겨서 : 후술할 글을 읽으면 알겠지만 화자는 죽은 아이를 뒤따라 자살하는 상황(베드엔딩)입니다. 즉, 화자의 상황과 대조되는 객관적 상관물입니다.

3. 화자가 현재 드라마 보기와 같은 집중력을 요하는 행위를 어려워하고 있고,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는데, 이는 PTSD의 주요 증상입니다.

 

 

窓から差し込む光とそよ風が 朝を教えた

마도카라 사시코무 히카리토 소요카제가 아사오 오시에타

창문으로 들어오는 빛과 산들바람이 아침임을 알려줬어

 

布団の中さえ冷えていた朝に

후톤노 나카사에 히에테 이타 아사니

이불 속조차 차갑게 식어있던 아침에

 

誰にも会いたくなくなって 太陽を睨んでいた

다레니모 아이타쿠 나쿠 낫테 타이요-오 니란데 이타

그 누구와도 만나고 싶지 않아져서 태양을 노려보고 있었어

 

1. 아이가 죽은 뒤 아이 없이 홀로 아침에 일어난 화자의 모습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2. 빛과 산들바람이라는 평화로운 자연의 분위기가 화자와 대조되고 있습니다.

3. 이불 속조차 차갑게 식어 있던 : PTSD의 주요 증상인 오한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빛과 산들바람이라는 단어를 통해 이 노래의 시간적 배경이 봄임을 알 수 있는데, 봄은 주로 '생명'을 상징합니다. 하지만 화자의 집은 가장 따뜻해야할 이불 속 조차 차갑군요. 이를 통해 화자가 삶의 의지를 상실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4. 누구와도 만나고 싶지 않아져서라는 문장을 통해 아이의 죽음으로 인한 PTSD의 주요 증상인 무기력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5. 태양을 노려보고 있었어 : 흔히 사람은 힘든 일이 있거나 우울한 상태이면 하늘을 많이 봅니다. 이를 통해 화자는 우울증에 빠진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노래의 배경을 집 안에서 창문, 발코니로, 화자의 환영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는 문장이기도 합니다.

 

 

結露越しの街に白い翼を見た

케츠로고시노 마치니 시로이 츠바사오 미타

서리 너머 거리에서 하얀 날개를 봤어

 

その四肢を見た

소노 시시오 미타

그 팔다리를 봤어

 

間違いなくあなたは 私の天使だ

마치가이 나쿠 아나타와 와타시노 텐시다
틀림 없이 너는, 나의 천사

 

1. '서리 너머'라는 표현을 통해 비가 온 뒤 화창한 날씨를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아이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을 잊기 위해  죽은 아이를 억지로 잊으려 했던 지금까지는 장마같은 나날들이였지만, 아이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따라서 자살하는 오늘은 역설적으로 화창한 날이군요.

2. '거리'는 실제로는 창문밖의 흔한 거리겠지만, 여기에서는 죽은 아이가 천사로 나와 다시 재회하는 거리이니 저승길이겠군요.

3. 하얀 날개, 나의 천사 : 죽은 아이가 천사가 되어 화자의 눈 앞에 나타났습니다. 환영입니다.

 

서리

 

 

甘いエンジェルヘイロー

아마이 엔제루 헤이로-

달콤한 엔젤 헤일로

 

1. 헤일로는 천사나 절대자같이 신성한 대상 뒤 혹은 위에 그려지는 링을 말하는데, 요즘 대중매체에서는 죽음의 상징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태양을 노려보고 있다고 했으니 태양 빛이 천사가 된 죽은 아이의 후광같이 보이겠군요.

2. 마찬가지로 죽은 아이를 천사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IMAWANOKIWA 2:53 중 장면

 

 

仰いだ 哀れなサクリファイス

아오이다 아와레나 사크리파이스

우러러본 가련한 Sacrifice

 

1. 우러러본 : 화자는 창문 바깥 하늘을 올려다 보며 자신의 죽은 아이의 환영을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2. 가련한 : 가엾고 불쌍하게 느끼다. 즉, 자책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3. Sacrifice : 희생이라는 뜻으로, 사고임이 분명한 아이의 죽음을 자신의 잘못이 있음을 내포하는 희생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자책은 PTSD의 주요 증상입니다.

 

 

幸福の定義さえ覆るほどに

코-후쿠노 테이기사에 쿠츠가에루 호도니

행복의 정의마저 뒤집을 정도

 

1. 아이를 흔히 무조건적인 행복이라고 하죠.

 

 

-- --- - ···· · ·-·

Mother

엄마

 

1. 화자가 듣고 있는 죽은 아이의 말소리, 즉 환청 입니다.

 

 

-- -·-- -·· ·- ··- --· ···· - · ·-·

My daughter

내 딸은

·-- ·· ·-·· ·-·· -· · ···- · ·-· -·-· --- -- · -··· ·- -·-· -·-

will never come back

절대 되돌아오지 않아

··-· ··- -·-· -·- ·· -· --· --· --- -·· - --- --- -·- ···· · ·-·

Fucking god took her

빌어먹을 신이란 놈이 데려갔으니까

 

1. 화자는 죽은 아이의 환청을 거부하며 죽은 아이는 다시 되돌아 올 수 없다고 이성적으로 판단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綺麗な その瞳に 全てを奪われた

키레이나 소노 히토미니 스베테오 우바와레타

아름다운 그 눈동자에 모든 걸 빼앗겼어

 

もう嫌んなったの全部

모- 얀낫타노 젠부

이젠 다 싫어졌어, 전부 다

 

今はひたすらあなたと もっと もうちょっと居たいなって 思った

이마와 히타스라 아나타토 못토 모- 춋토 이타이낫테 오못타

지금은 그저 너와 좀 더 조금만 더 있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

 

1. 하지만 죽은 아이가 천사로 돌아온 모습(환영)은 '아름다운 눈동자'라고 표현할 정도로 너무나 아름다웠군요.

2. 모든 걸 빼앗겼어, 너와 좀 더 조금만 있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 : 화자는 결국 죽은 아이를 다시 만나기 위해 자살을 택할 것입니다.

 

 

暗いほうは見ないで抱きしめた

쿠라이 호-와 미나이데 다키시메타

어두운 쪽은 보지 않고 껴안았어

 

1. 어두운 쪽 : 아이가 죽은 현실을 의미합니다. 화자가 있는 차갑게 식은 집이라고 볼 수 있겠군요.

2. 껴안았어 : 하늘에 천사의 모습으로 떠있는 아이를 껴안기 위해 뛰어내렸음을 의미합니다. 즉, 자살입니다.

 

 

·· ··-· --- ·-· --· --- -

I forgot

나는 잊었어

 

1. 화자는 아이가 죽은 현실을 잊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PTSD의 주요 증상인 회피 증상을 표현한 것이기도 하죠.

 

 

ドラマを見るのが好きだった

도라마오 미루노가 스키닷타

드라마 보는 걸 좋아했어

 

甘い ハッピーエンドに浸っては眠るのが 好きだった

아마이 핫피- 엔도니 히탓테와 네무루노가 스키닷타

달달한 해피 엔딩에 잠겨서는 잠에 드는 게 좋았었지

 

窓から差し込む光とそよ風が 朝を教えた

마도카라 사시코무 히카리토 소요카제가 아사오 오시에타

창문으로 들어오는 빛과 산들바람이 아침임을 알려줬어

 

1. 화자의 처지, 심리 상태 등 모든 것을 제시한 상태에서 화자의 현실 상황을 또 다시 반복 제시함으로써 슬픔을 강조하고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此処いもの 此処ない

코코니 나이 모노 코코니 이나이 히토

여기 없는 것, 여기 없는 사람

 

1. 여기 없는 것 : 화자의 죽은 아이에 대한 기억입니다. 기억하면 고통스럽기 때문에 잊고 싶어하고 있습니다.

2. 여기 없는 사람 : 죽은 아이입니다.

 

 

凍った床のワンルームから

코옷타 유카노 완 루-므카라

차가워진 방바닥의 원 룸에서

 

さないでしてしまうから

데리고 나가지 말아줘떠올려버리니까

 

連れ出してくれたら

츠레다시테 쿠레타라

데리고 나가준다면

 

さないで

데리고 나가지 말아줘

 

1. 원 룸은 화자가 현재 있는 공간이자 죽은 아이를 잊으려고 하는 상황 자체를 상징함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원 룸이라는 단어 자체가 화자가 혼자라는 상황을 상기시켜 주기도 합니다.

2. '데리고 나가지 말아줘'와 '데리고 나가준다면'이라는 상반되는 문장을 통해 화자의 분열된 정신 상태가 드러나고 있습니다. '데리고 나가지 말아줘', '떠올려 버리니까'를 통해 화자가 죽은 아이를 잊으려고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데리고 나가준다면'을 통해 죽은 아이와 재회하고 싶은 부모의 무조건적인 충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자살이라는 결과로 이어집니다.

 

 

··-· --- ·-· --· ·· ···- · -- · -- -·-- ·- -· --· · ·-··

Forgive me my angel

용서해다오, 나의 천사야

 

1. 아이의 죽음을 막지 못한 죄책감의 표현임과 동시에, 자살은 신이 주신 몸을 버리는 이기 때문에, 천사에게 용사를 구하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甘いエンジェルヘイロー

아마이 엔제루 헤이로-

달콤한 엔젤 헤일로

 

噛んだ 憐れなアノニマス

칸다 아와레나 아노니마스

살짝 깨문 가련한 anonymous

 

1-1. 살짝 깨문 : 죽은 아이가 떠오르자 혀 등을 살짝 깨물어 잊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1-2. 살짝 깨문 : 죽은 아이가 떠오르자 불현듯 혀를 깨문듯한 고통이 느껴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2. anonymous : 이름이 없는, 즉 죽은 아이를 떠올리지 않기 위해 이름조차 언급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しらない

몰라

 

幸福の定義さえ覆るほどに

코-후쿠노 테이기사에 쿠츠가에루 호도니

행복의 정의마저 뒤집어버릴 정도로

 

薬漬けでも構わない

쿠스리즈케데모 카마와나이

약을 다량으로 주더라도 상관 없어

 

夢を見たいだけだ

유메오 미타이 다케다

을 꾸고 싶을 뿐이야

 

1. 수면제나 우울증 약 따위를 다량으로 먹어 나 자신을 잃어도 상관 없으니 아이의 죽음이라는 고통스러운 상황을 잊고 싶어하는 모습입니다.

2. 이 때의 '행복의 정의마저 뒤집어버릴 정도'는 화자에게 절대적 행복이자 사랑의 대상인 '아이'를 잊는 것을 의미합니다.

3. 꿈 : 번뇌와 불면증에서 벗어나 자는 달콤한 꿈. 여기서는 죽은 아이를 완전히 잊는 상황을 상징합니다.

 

 

もう嫌んなったの全部

모- 얀낫타노 젠부

이젠 다 싫어졌어, 전부 다

 

今はひたすらあなたと もっと

이마와 히타스라 아나타토 못토

지금은 그저 와 좀 더

 

もうちょっと居たいなって思った

모- 춋토 이타이낫테 오못타

조금만 더 있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

 

暗いほうは見ないでキスをしたのさ

쿠라이 호-와 미나이데 키스오 시타노사

어두운 쪽은 보지도 않고 키스를 한 거야

 

1. 화자는 모든 것을 포기합니다. 죽은 아이를 잊기 위해 발버둥 치는 것도, 자신의 삶도.

2. 자살의 이유는 '죽은 아이와 조금만 더 함께 하기 위해서'입니다.

3. 키스를 한 거야 : '어두운 쪽은 보지 않고 ㅇㅇ한거야' 꼴의 문장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 때 oo한거야에는 애정 표현이 나타납니다. 앞에서는 껴안았고, 요번에는 키스를 하고 있습니다. 우울함에서 자살로 치닫는 곡의 상황을 화자의 모성애가 점점 강해지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 ···· -·-- -·· ·· -·· -·-- --- ··- -·-· ···· --- --- ··· ·

Why did you choose

왜 그런 선택을 한 거지?

 

1-1. 절대자가 화자에게 하는 질문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어째서 자살을 선택한거지? 이 곡 전체가 이에 대한 답변입니다.

1-2. 화자가 화자에게 하는 질문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화자는 아이의 죽음이라는 사고를 자신의 탓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아이를 죽이는 '선택'을 한 것 아니냐는 자책의 표현입니다.

 

 

間違いなくあなたは 私の天使だった

마치가이 나쿠 아나타와 와타시노 텐시닷타

틀림 없이 너는, 나의 천사였어

 

光差すバルコニーから

히카리 사스 바루코-니카라

빛이 비치는 발코니에서

 

手を伸ばした

테오 노바시타

손을 뻗었어

 

掴んだんだ、確かに

츠칸단다, 타시카니

붙잡았단 말야, 확실히

 

1. 이야기의 서술은 다시 환각을 보고 있던 처음의 상황으로 돌아옵니다. 환각을 천사로 환생한 아이로 착각한 화자는 발코니에서 손을 뻗어 아이를 붙잡아 봅니다. 하지만 환각은 환각일 뿐, 손으로 잡히지 않습니다.

 

IMAWANOKIWA 3:01

 

 

 

·· ·-·· --- ···- · -·-- --- ··-

I love you

널 사랑한다

 

·· ·-- ·- -· - - --- - · ·-·· ·-·· -·-- --- ··- - ···· ·- -

I want to tell you that

네게 그걸 말해주고 싶었단다

 

·- --· ·- ·· -·

again

다시 한 번...

 

1. 화자가 죽은 아이의 환각을 붙잡았던 이유는, 단지 '널 사랑한다'라는 말 한마디 한 번 더 해주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화면이 마치 제사에서 영정 사진 앞에 향을 피우고 있는 것 같은 모습으로 전환됩니다.

今際の際にて

이마와노 키와니테

죽기 직전에서야

 

とろけた哀れなサクリファイス

토로케타 아와레나 사크리파이스

녹아버린 가련한 Sacrifice

 

1. 녹아버린 : 자살을 선택함으로써 PTSD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Sacrifice : 모성애는 흔히 희생적인 사랑이라고 하죠.

 

 

幸福の定義さえ覆るほどに綺麗な

코-후쿠노 테이기사에 쿠츠가에루 호도니 키레이나

행복의 정의마저 뒤집을 정도로 아름다운

 

その 瞳に全てを奪われた

소노 히토미니 스베테오 우바와레타

그 눈동자에 모든 걸 빼앗겼어

 

1. 드라마의 해피엔딩에 행복할 줄 아는 소소한 삶의 행복을 버리고 결국 자살로써 모성애를 택합니다.

 

 

もう嫌んなったの全部

모- 얀낫타노 젠부

이젠 다 싫어졌어, 전부 다

 

今はひたすらあなたと

이마와 히타스라 아나타토

지금은 그저 너와

 

「いっそ、天国が見たいな」って

「잇소, 텐고쿠가 미타이나」앗테

「차라리, 천국이 보고 싶네」라며

 

笑った

와랏타

웃었어

 

1. 화자는 잠자는 핑크빛 노이즈(꿈)를 버리고, 아이와 함께하는 천국을 택합니다.

 

 

暗いほうは見ないで

쿠라이 호-와 미나이데

어두운 쪽은 보지 않고

 

飛びたって いくのさ

토비탓테 이쿠노사

뛰는 거야

 

1. 어머니의 모성애는 허그, 키스를 거쳐, 결국 자살로 마무리 됩니다.